HS code 10자리의 의미 및 HS code 조회 방법

해외에서 물건을 수입해오는 경우 국가별로 지정한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관세를 지불해야 합니다.

그런데 제품별로 관세가 상이한 부분을 위해서 HS code로 관세를 확인해야 하는데 HS code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HS code 10자리의 의미가 무엇이고 HS code 조회방법 및 관세 조회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S code 10자리의 의미

HS Code는원래 해외 무역 거래 시에 상품을 분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품목 분류 코드를 말합니다. 국제 규격으로는 다음과 같이 총 6자리로 구성되어 있고 그 분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모차 HS Code인 8715.00의 상세 내용

87 : 차량

8715 : 유모차 그 부분품

8715.00 : 유모차
 

위와 같이 원래 국제 무역에서 통용되는 코드는 6자리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물건의 조금 더 상세하게 분류하기 위해서 뒤에 4자리를 추가한 10자리의 HS code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을 HSK 코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유모차의 HSK Code인 8715.00-0000의 상세 내용

87 : 차량

8715 : 유모차 그 부분품

8715.00 : 유모차

8715.00-0000 : 유모차와 그분품

HS code 조회 사이트

온라인상에서 HS code 조회가 가능한 사이트들은 여러 곳들이 있는데 현재 대표적인 Hs code 조회 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FTA포털”과 “HS 오토팬”입니다.

FTA 포털에서 조회 방법

‘FTA 포털’을 통해서도 HS code의 검색이 가능한데 다음과 같이 ‘FTA 포털’을 접속한 후에 원하는 물품을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됩니다.

FTA포털에서 HS코드

다만 ‘FTA포털’의 경우 FTA품목에 지정된 항목만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상 품목이 한정적일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②HS 오토팬에서 찾는 방법

다음은 HS 오토팬이라고 하는 HS code 자동 분류 사이트인데 FTA 포털과는 다르게 훨씬 많은 품목의 HS code 검색이 가능한 사이트입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검색창에 “유머차”를 입력해서8715.00-0000이라는 코드 번호를 쉽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HS code조회 화면

 

관세 조회 방법

마지막으로 위의 ‘FTA포털’이나 ‘HS오토팬’을 통해서 조회된 HS code를 이용해서 관세 조회가 가능한데 관세 조회는 “한국무역협회(kita) 사이트”에서 조회를 하면 되고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무역협회 사이트 접속
  2. 국가/연도/대상 HS code입력
  3. 검색 버튼 선택

HS code로 관세 조회 하기👉

HS code로 관세 검색

맺음말

여기까지  HS code 10자리의 의미가 무엇이고 HS code 조회방법 및 관세 조회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원칙적으로 현재 해외여행시에 허가된 제품들에 한해서는 약 800$(2025년 기준) 정도면 별도로 관세를 지불하지 않고 통관이 가능하고 그 이외에는 세관 신고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핸드캐리로 가지고 들어오시는 분들의 경우 소품목이거나 구입이거나 주요 관리 품목(농산물/마약/명품 등등)이 아니면서 그다지 눈에 띄지 않으면 공항의 세관에서도 크게 확인을 하지 않는 것 같으니 적절하게 판단하시고 대응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