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company미분류

PMP 자격증 합격 후기 및 시험 체크 리스트

PM들이라면 언젠가 한 번은 도전해야 하는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자격증 시험을 합격한 후기공부 방법 그리고 시험 전에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항목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PMP 합격 후기

저의 경우는 PM들에게 PMP취득을 상당히 권고하고 있는 분위기 이다 보니 미루고 미루어 왔던 PMP시험을 드디어 올해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총 2개월 정도 공부한 뒤에 치룬 PMP 시험이었고 시험 응시는 온/오프 라인중에서 오프라인(서울 피어슨 프로페셔널 센터)에서 실시하였습니다. 장소는 서울 시청 뒤에 있는 건물 6층에 있는 곳으로 아래와 같은 장소입니다.

PMP시험신청방법 정리 참고 👉

입구에 들어가면 카운터에 있는 관리자 분이 개인 사물함에 물품 보관을 지시받고 신분 검사(신분증/사진/지문)를 진행한 이후에 PC로 시험을 진행하는 별실로 이동합니다. 

시험은 180문제를 230분(휴식 시간 10분 씩 2회 포함) 동안 풀어야 하는데 중간중간에 위와 같은 대기실로 이동하여 간단한 음식 섭취 및 화장실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PC로 시험을 보는 장소에서의 이동은 철저하게 감독자님들의 관리하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이곳의 시험 감독자들은 지극히 사무적이었기 때문에 시험장 내부는 상당히 무거운 분위기였던 것 같습니다.

다른 경험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시험 완료 후에 바로 합격 결과를 알 수 있다고 해서 어떤 형태로 결과가 공유되나 궁금했는데 시험을 완료하면 대기실 감독자님이 다음과 같은 결과 한 장을 출력해 주는데 이곳에 합격여부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용지를 받았고 처음에는 “PASS”라는 문구가 크게 눈에 띄지 않아서 결과를 정확히 몰랐었는데 내용을 읽어 보니까 합격이더군요

위의 결과지를 전달받은 뒤에서 약 1일 정도 지난 뒤에 PMI사이트에서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서 정확한 시험 성적의 확인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은 결과로 시험을 합격하였습니다.

결과가 총 180문제 중 140~150 사이 정도 맞추었던 “Target”의 중간 수준이라서 성적이 우수한 편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직장 다니면서 2달간 공부했던 패턴 및 내용들과 시험장의 분위기를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시험공부 패턴

시험공부는 우선 ITPE사이트의 동영상 강의를 수강해서 공부를 했고 시험은 약 2개월 전에 수강해서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PMP자격증 7판 전체 과정(2023년형) 동영상 강의 3회독
    • PMP기출문제 및 모의고사(2022~2024) 총 5회독

처음 1개월 간은 문제보다는 매일 퇴근 후 1~2시간 그리고 주말 반나절 정도를 투자했고 동영상 강의를 통해서 각 프로세스들과 Input/Tool/Output 위주로만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2개월째가 되는 때는 가능대부분 문제 3년 치 문제(약 500개 정도?)를 반복해서 풀면서 가능하면 쉽지는 않았지만 문제들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 프로세스와 Input/Tool/Output이 무엇인지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당시 PMP강사님 역시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각 문제들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려고 노력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시험을 끝내고 생각해 보면 그 말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시험 직전에 보면 좋은 내용

생각보다 암기나 계산 위주의 문제들보다는 다음과 같이 상황을 위주로 PM으로써 대처해야 하는 방법을 제시해야 하는 문제들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던 것 같은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질문 예)프로젝트 스폰서가 결정한 사항에 대해서 사내의 기술 총 책임자(CTO)가 반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 스폰서는 CTO의 의견을 무시하고 진행하라고 한다. 이때 PM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프로젝트 스폰서 결정 사항에 따라서 진행해야 한다
  2. OPA를 참조한다
  3. 이해관계자 참여 계획서를 검토한다
  4. CTO의 의견을 결정사항에 반영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정확하게 어떤 프로세스가 있는지 그리고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는 Input/Tool/Output들과 영어 표현들을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한데 시험 전에 아래 내용 한번 보고 들어가셔도 좋지 않을까 해서 정리해 봅니다.

 

Overall

-조직프로세스자산(Organizational Process Assets)은 포함하고 있고 향후 조직 내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정보로  교훈물 관리대장(Lessons Learned Register)도 이에 포함 되어있음

-프로젝트 개발 모델 중 “애자일”은 “반복적 생명주기(Iterative Life Cycle)”, “적응적 생명주기(Adaptive Life Cycles)”등으로 표현 되고 있고 “예측적개발모델”은 “폭포수모델(Waterfall)”, ‘전통적모델”등으로 표현됨

-프로젝트 개발 모델중 애자일이 가장 빠르고 예측적이 가장 느림(프로젝트 진행 스피드 : 예측적 < 증분형 < 애자일)

-가장 빠른 개발이 필요할 때는 ‘최소 기능 제품 (MVP-Minimum Viable Product)‘개발로 애자일이나 하이브리드, 증분형 등에서 가능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프로젝트 통합관리의 순서)

프로젝트 헌장(Project charter)개발
프로젝트 관리계획서 개발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
프로젝트 지식 관리
프로젝트 작업 감시 및 통제
통합 변경 통제 수행
프로젝트 종료 및 단계종료

-프로젝트 헌장의 “프로젝트 작업 기술서”는 SoW(State of Work)이 포함됨

-프로젝트 헌장의 Business Document에는 “BC(Business Case)”와 “BMP(Benefit Management Planning)로 구성되어 있음

-프로젝트 헌장은 프로젝트 스폰서 이외에 착수를 승인할 수 없음(PM은 불가)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 툴은 ‘교훈물 관리대장(Lesson Learned Register)’과 ‘PMIS’등이 있음

-통합 변경 통제 수행 프로세스(CCB)의 input은 CR(Change Request)이고 Outputd은 “승인된 CR임”

-프로젝트 착수 단계에서 “프로젝트헌장개발”과 이해관계자 식별”이 완료되면  끝나고 나서 Kick Of Meeting(KOM) 실시가 가능하고 이 미팅에서 이해관계자와 목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목적임

 

Project Scope Management

-범위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툴인 연동기획(Rolling Wave Planning)은 프로젝트 범위를 분할하는 기법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애자일에 적합함

-WBS(Work Breakdown Structure)는 인도물을 Work Package까지 상세하게 쪼개서 범위를 관리하는 툴로 Work Package를 Activation으로 쪼개는 작업을 “분할(Decomposition)”이라고 함

범위확인에서는 검증된 인도물(VD – Verified Deliverable)을 확인하여 인수된 인도물(AD – Accepted Deliverable)로 인수를 공식화함(formalizing acceptance)

-초기 인도물(Deliverable)에 대해서 검증된(VD – Verified Deliverable)로 전환하는 작업은 품질통제 프로세스의 검사등을 통해서 진행함

 

Project Management Planning

-프로젝트 일정관리 프로세스의 순서
①일정 관리 계획 수립 ②활동의 정의③활동 순서 배열④활동 기간 산정(Estimate Activity)➄일정 개발

-프로젝트의 활동 순서배열에는 “선후행 도형법(PDM –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을 사용하고 순서는 FS(Finish to Start – FS가 중요), FF(Finish to Finish), SS(Start to Start), SF(Start to Finish) 임

-활동 기간 산정(Estimate Activity)의 방법들은 다음과 같음

전문가 판단(EJ), 유사산정(Analogous estimating), 모수산정(Parametric estimating) 통계적관례, 3점 산정(Three-point estimating)

-이 중에서 과거에 유사한 프로젝트의 경험이 없는 경우 3점 산정을 진행하고 방법 및 계산식은 아래와 같음

  • 3점 산정 중 ‘삼각분포(Triangular Distribution) = 최적값 + 최악값 + 보통값 / 3
  • 3점 산정 중 베타분포(Beta Distribution) = 최적값 +(4 X 보통값) + 최악값 / 6

-주공정법(Critical Path Method)은 가장 긴 경로이고 일정 개발 방법 중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음

  •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 : CP변경, 일정 변경 가능성 있음
  • 자원최적화(Resource Optimization, Resource smoothing) : CP변경 없고 일정 추가됨
  • 주공정 연쇄법 CCM(Critical Chain Method) : 불확실한 경우의 버퍼를 추가

 

Project Cost Management

– 획득 가치 분석(Earned Value Analysis – EVA) – 획득 가치 관리(Earned Value Method – EVM)
– PV(Planned Value), AC(Actual Cost), BAC(Budget At Completion)
→ PV(계획된 예산) 대비 실재 수행한 결과를 예산으로 한 값(EV)
→ AC(특정기간 동안의 작업활동 원가)
→ EV(작업이 된 내용)
→ BAC(완료 시점 예산 -Budget At Completion)
→ CV(원가 차이 Cost Variance) = EV – AC
→ CPI(원가 성과 지수) = EV/AC ‘CV’를 백분율 바꾼 내용
→ SV(일정 차이 Scheduled Variance) = EV – PV
→ SPI(일정 성과 지수) =EV/PV ‘SV’를 백분율로 바꾼 내용

– (Schedule Performance Index, SPI)와 (Cost Performance Index, CPI)의 성과 지수 1 이상이면 좋음
→ SPI가 성과가 안 좋을 때는 Behind, 성과가 좋을 때는 A head of
→ CPI의 성과가 안 좋을 때는 Over, 좋은 경우는 Under

 

Project Quality Management

– 품질 비용(Cost of Quality)은 적합 품질 비용(Cost of Conformance)과 부적합 품질 비용(Cost of Nonconformance)으로 나누어지고 상세는 다음과 같음
→ 적합 품질 비용 : 예방비용(교육, 훈련)/평가비용(파괴 시험)
→ 부적합 품질 비용 : 내부실패(재작업등) 비용/외부실패 비용(비즈니스 로스)

– 품질 관리에서 감사(Audit)는 프로젝트 진행 중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확한 현상을 조사할 때 실시하는 독립적인 프로세스이다

 

Project Resource Management

– 자원 관리 계획 수립(Plan Resource Management) 시에 책임 배정 매트릭스(RAM = RACI)를 사용해서 담당자를 지정하는데 각각의 아이템에 ‘R’과 ‘A’는 한 명만 지정이 가능함

– 팀개발(Develop Team)의 터크만 모델 : 형성(Forming)→ 스토밍(Storming)→ 표준화(Norming)→ 수행 (Performing)→ 해산(Adjourning)

– 팀관리(Manage team)의 맥그리거 이론 참고
→ 동기 부여 이론(맥그리거의 X이론) : 통제와 처벌이 필요한 경우(지각한 직원들에 대한 대응 등)
→ 동기 부여 이론(맥그리거의 Y이론) : 직원이 알아서 일하는 경우

 

Project Risk Management

– 프로젝트 위험 관리 프로세스의 순서

1. 위험 관리 계획 수립 → 2. 위험 식별 → 3. 정성적 위험 분석 수행 → 4. 정량적 위험 분석 수행 → 5. 위험 대응 계획 수립

– 위험관리 계획수립의 4종류 확인
→ 기술적 리스크(Technical)/관리리스크(Management)/상용리스크(Commercial)/외부리스크(External) (기관상외)
→ 기술적 리스크 : 범위영역, 요구사항정의, 산정 및 제약, 기술적 프로세스, 기술, 기술적 인터페이스 (범, 요괴 산에 사는데 기술 3개 필요)
→ 관리리스크 : 프로젝트관리, 프로그램/포트폴리오관리, 운영관리, 조직, 자원조달, 의사소통 (프프 거리다 운이 조아 자위(의)했다)

– 정성적 위험 분석 수행에서 확인하는 내용들
→ 리스크에 대한 우선순위(Priority)를 판단하고 카테고리화
→ 데이터분석 : 모수평가(Parameter) , 위험확률평가(Risk Probability and Impact : PI)
→ 긴급성(Urgency), 근접성(Proximity), 휴면성(Dormancy), 연결성(Connectivity)

– 정량적 위험 분석 수행의 항목들
→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 연관성/상관성(Correlation), 토네이도 다이어그램
→ 의사결정트리분석(Decision Tree Analysis): 금전적 기대값 분석(EMV, Expected Monetary Value)

-Fast Tracking : 예산 추가가 불가한 상태에서는 병행 진행

-Crashing :자원의 추가 투입으로 자원 추가 코스트 증가, 연장 근무를 하게 하는 경우도 유사한 의미

-갈등해결 기법 : 강행/지시(Force/Direct), 협업/문제해결(Collaborate/Problem Solve), 타협/화해(Compromise/Reconcile), 철회/회피(Withdraw/Avoid), 원만한 해결/수용(Smooth/Accommodate)

 

Project Procurement Management

-고정가 계약(Fixed-Price Contract)의 종류들과 원가정상 계약(Cost-reimbursable Contracts) 종류들 확인

고정가 계약 원가정상 계약
★FFP(Firm Fixed Price 확정 고정가)
FPIF(Fixed Price Incentive Fee 성과급 가산 고정 원가)
FP-EPA(Fixed Price with Economic Price Adjustment 가격조정조건부)
CPFF(Cost Plus Fixed Fee 고정 수수료 가산 원가)
CPIF(Cost Plus Incentive Fee 성과급 가산 원가)
CPAF(Cost Plus Award Fee 보상금 가산 원가)
★CPPC(Cost Plus Percentage of Cost 원가비율 수수료 가산 원가)

 

 

맺음말

이상으로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자격증 시험을 합격한 후기와 공부 방법 그리고 시험 전에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항목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실제로 시험 중에는 각 프로세스나 기법들에 대한 영어 표현등도 중요한데 PMBOK Guide Book를 참고해서 표현도 같이 점검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서 PMBOK Guide Book을 참고할 수 있는 곳도 같이 공유 드립니다.(PMBOK Guide Book으로 이동👉)

다만 로그인이 필요하고 PMI 멤버십을 가입한 사람만 열람이 가능한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과 김책임

Recent Posts

마이너스 통장 vs 신용대출, 뭐가 더 나을까?

대출이 필요한 순간, 우리는 자연스럽게 두 가지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하게 됩니다. 바로 마이너스 통장과 신용대출입니다.…

2주 ago

SCHD, JEPI, JEPQ 비교 분석 (고배당 ETF 투자 시 알아야 할 장단점)

고배당 ETF는 은퇴 준비, 월배당 수익 창출, 복리 재투자를 통한 자산 증식 등 다양한 목적을…

3주 ago

윤석열 탄핵 선고문 전문 공유 (2025년 4월4일)

2025년 4월4일 11시 22분께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문 전문에 대해서 공유 드립니다. 하기 참고 부탁…

4주 ago

이재명 관련주 완벽 정리

다가오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관련된 주식들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정치 테마주는…

4주 ago

테슬라 주가 분석 총정리(테슬라 향후 전망 및 관련 ETF 정보)

최근 테슬라(TSLA)의 주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테슬라의 최근 실적, 시장…

4주 ago

비트코인 연계 고배당 ETF 비교 분석 완벽정리(MST, CONI, BITO)

비트코인과 관련된 고배당 ETF는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MST, CONI, BITO는 비트코인 가격과…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