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부터 정부에서 청년을 위해서 실시한 제도들 중에 하나인 청년도약 계좌에 대해서 최근에 제도 개편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본 포스팅에서는 청년 도약 계좌가 무엇이고 2024년에 개편된 제도들은 무엇이 있는지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세~34까지 가입할 수 있는 정기 적금으로 일정한 소득 구간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정부에서 기여금과 은행이자를 동시에 년간 최대 12%까지 받을 수 있는 계좌로 2023년도에 6월에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책입니다.
그런데 정부에서 최근 청년 도약 계좌의 가입율을 더욱 늘리기위해서 일부 혜택들을 더욱 강화하였는데 그 혜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의 청년 도약 계좌 조건에서의 최근 변경된 제도들은 “이자소득비과세”, “육아휴직자 가입 허용”, “비과세 소득기준 합리화”와 관련된 내용들이고 그 상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 청년 도약 계좌는 5년간 가입을 만기하게 되는 경우에만 비과세 혜택을 받았지만 2024년 계정을 통해서 3년 이상가입한 경우에 한해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변경됩니다.
2023 | 2024 |
중도해지시 비과세 미적용 | 3년 이상 가입한 경우 중도해지시 비과세 유지 |
기존 청년 도약 계좌는 직전 과세 기간에 소득이 없거나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제외되었지만 2024년에 바뀐 기준으로는 육아 휴직과 관련된 수당이나 급여로도 가입이 가능해져 여성들에게도 유리하게 변경이 되었습니다.
2023 | 2024 |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가입 불가 | 육아 휴직 급여나 육아 수당의 경우에는 소득 요건으로 인정 |
소득기준을 판단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기존에는 전년도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 비과세 혜택 제공 여부를 사후에 검증하였지만 개편된 이후에는 전년도 소득이 없는 경우에도 전전 연도 소득을 기준으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3 | 2024 |
전년도 소득 미확정시 비과세 여부 사후 검증 | 전년도 소득 미확정시 전전년도 소득 기준으로 비과세 판단 |
기존의 청년 도약 계좌의 경우 중도해지를 하더래도 비과세 해택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은 퇴직, 폐업 등이 었지만 이번 제도 개편을 통해서 결혼이나 출산을 목적으로 해지 하더라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수 있도록 개선됩니다.
2023 | 2024 |
비과세 혜택을 받을수 있는 해지 사유(퇴직, 폐업, 생애 첫 주택구입시) | 비과세 혜택을 받을수 있는 해지 사유(퇴직, 폐업, 생애 첫 주택구입시+결혼, 출산) |
이상으로 청년 도약 계좌가 무엇이고 ‘비과세 기준 관련 제도 부분’이나 ‘육아 휴직자 가입자들에 대한 혜택’등 2024년에 개선되는 부분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20~30대는 한창 삶에 변화가 많은 시기이기 때문에 수십만 원을 5년 만기로 저축을 가지고 가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들을 고려해서 정부에서 더욱 많은 청년분들에게 혜택을 주려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좋은 방향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대출이 필요한 순간, 우리는 자연스럽게 두 가지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하게 됩니다. 바로 마이너스 통장과 신용대출입니다.…
고배당 ETF는 은퇴 준비, 월배당 수익 창출, 복리 재투자를 통한 자산 증식 등 다양한 목적을…
최근 테슬라(TSLA)의 주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테슬라의 최근 실적, 시장…
비트코인과 관련된 고배당 ETF는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MST, CONI, BITO는 비트코인 가격과…